
활동보조란 직업은, 사실 노동이라기보단 일상에 가깝다. 일상은 일상인데 습관을 벗어난 일상이라 하면 맞을까. 장애인의 속도, 장애인의 행동에 나의 일상을 맞추다보면, 나를 구성하는 것에 습관이 얼마나 많은 역할을 차지하는지 알 수 있는 것 같다. 그 괴리를 극복하면 이 직업은 재미있는 시트콤이 되는 것이고, 극복하지 못한다면 월급조차 받기 싫은 괴노동이 되어버리는 셈이다.
와이프와 함께 쇼핑을 나간 내 이용인께서, 휠체어에 앉은 채 유리장 속 토끼에 눈을 빼앗긴 건 불과 몇 시간 전 일이었다. 그 곁에 붙어 토끼의 둥그런 몸뚱이를 보며 히히덕거리던 나도, 그분이 어느 새 자기 키 높이에 있는 토끼사료를 손에 쥔 채 와이프에게 그윽한 눈빛을 보낼 줄은, 예상하지 못했다. 그렇게 삼십 분 쯤, 실랑이를 벌인 끝에 와이프는 마음 속 분양문서에 도장을 찍었다. 태어난 지 3개월, 조금 큰 토끼라 무료로 분양받았다는 게 행운이라면 행운일까. 졸지의 나와, 이용자 와이프분의 활동보조는 토끼 집사라는 타이틀을 획득하고 말았다.
전혀 준비가 안 된 상태라, 뭘 어떻게 해야 할 지 막막하다. 활동보조야 햇수로 보면 2년째라 손짓 하나로 원하는 걸 찾아낼 수 있겠지만서도, 이 작은 토끼라는 것은 눈빛도 손짓도 보내길 거부한다. 내가 왜 화났는지 모르냐는 질문을 받았는데, 상대가 말을 못알아들어 대답조차 할 수 없는 상황인 것 같다. 일단 박스에 사온 건초를 뿌리고 옷걸이를 구부려 물통을 걸어놓은 뒤 퇴근하긴 했는데, 버스에서 생각해보니 토끼는 눈에 보이는 건 먹고 본다는 사실을 깨닫고 말았다. 몇시간 후 토끼집의 상태가 기대된다. 그래, 그 집 내가 다 치운다.
그래서 사실 궁금한 게, 먹이 급여 타이밍이었다. 어디서는 알팔파 건초는 무한급여하라 하고, 어디서는 일단 제한급여가 답이라 하는데, 일단 전자의 의견을 받아들여 알팔파를 깔아놓고 오긴 했다만, 후자의 의견도 무시하긴 좀 그래서 고민된다. 뭐가 맞는 건지. 블로그란 게 이래서 어렵다.
사실, 이 블로그에도 연속되는 글이 있음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. 처음엔 소설을 생각했지만 자꾸만 방문을 여는 한계라는 손님 때문에 좌절했고, 이후로 생각했던 것들도 성과는 없이 힘만 쏟을 것 같은 것 투성이였다. 힘 빼고 쓸 수 있는 일상적 이야기가 고팠던 게, 블로그 오픈 1년간의 욕심이기도 했다.
어떤 변수가 생길지는 모르겠지만, 만약 오래 두고 살게 된다면 나에게도 작은 이야기가 하나 더 생길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. 다음을 조심스레 기대해보며, 잠에 들어야 할 것 같다.
덧글
다 크면 어마어마하게 커지는...
제한 급여를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.
조언 감사드립니다:)
요즘 풀리는 일이 없어서 힘들던 참에, 이런저런 검색하다가 우연히 본 글에 공감가는 글이 많아서 이렇게 댓글 한줄이라도 남겨봅니다. 저같이 님 글 읽으면서 공감도 하고 동질감 느끼는 분들 많을테니, 앞으로도 블로그 글들 꾸준히 써주시면 좋겠구요. 간간히 생각날때마다 또 찾아올께요. 여러 일 하면서, 글쓰는 쪽으로 준비하시는것 같은데 부디 하시는 일 계획대로 잘되시길 바래요.